DAILY PAPER REVIEW

0918-Meteorological effects on the levels of fecal indicatior bacteria in an urban stream: A modeling approach

1.Title & Journal
Meteorological effects on the levels of fecal indicatior bacteria in an urban stream: A modeling approach
2.Background of author
Kyung Hwa Choa, Sung Min Chaa, Joo-Hyon Kanga, Seung Won Leea, Yongeun Parka, Jung-Woo Kimc, Joon Ha Kima,b
a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261, Cheomdan-gwagiro, Buk-gu, Gwangju 500-712, South Korea
bSustainable Water Resource Technology Center,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261 Cheomdan-gwagiro, Buk-gu, Gwangju 500-712, South Korea
cRadioactive Waste Technology Development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045 Daedeok-daero, Yuseong-gu, Daejeon, 305-353, Republic of Korea

3.Summary
광주천은 매우 도시화된 유역내를 통과하므로, 상당한 배설오염원으로 고통받고있다. 그로인해 공공 건간 관리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배설오염원의 척도로 이용되는 FIB의 근원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강우와 비강우에 따른 날씨상태에 따라 광주천 내 4개의 지점에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강우와 햇빛에 의한 자연사가 FIB population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인자임을 것을 판단하였다. 강우시 FIB농도는 비강우일때보다 2~7배로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강우로 인한 퇴적층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FIB가 재부유와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의하여 생긴 일이며, 광주천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있었다. 또한 비강우시 FIB 농도는 낮시간에 감소하다 저녁시간에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외부와 단절된 Chamber experiment는 저녁시간에 FIB 농도가 회복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배설오염원은 점오염원으로부터 꾸준히 나옴으로써, 햇빗에 의한 사살이 없는 저녁시간에 FIB 농도가 증가를 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첫번째 모니터링을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상태 변화에 따른 transient spatiotemporal mode을 발달시켯다. 1차원 동역학 모델은 Saint-Venant equations를 이용하엿으며, 이는 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그리고 FIB transport은 FIB의 advextion-dispersion-reaction을 수식화하여 modeling을 하엿다. 그래서 이 모델은 4개의 major parameters에 민감한데 이들은 햇빛에 의한 자연사와, partitioning fraction, 재부유율, 퇴적층에서 부패율이다. Developing된 모델을 차후 모니터링결과와 비교해 볼 때 경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적절한 model이라고 판단되어진다.
4. Originality & creativity
이 논문에도 나와있듯이 차후에는 퇴적층에 영향에 따른 FIB 재부유에 대해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5. Reviewer contact : 전동진 (djjeon@gist.ac.kr)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