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늦게 제출한 것에 대해 죄송합니다. 비점오염중간보고회일정 후 바로 강우현장실험을 하게 되어 금일오전 철수후 바로 작성하였습니다. 향후 강우가 예상되면 미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제목 및 출간논문
Nutrient runoff from a Korean rice paddy watershed during multiple storm events in the growing season (Journal of Hydrology, (2006) 327, 128? 139)
2.주저자 또는 교신저자
Jin S. Kim
충북대학교 김진수 교수님은 동경대 농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으셨고 주 연구분야는 농업용수관리와 농업비점오염관리 입니다.
3.논문 내용 및 결론 요약
이 논문은 강우기간동안 농경지 유역에서 TN과 TP의 Loading Characteristics와 Concentrations를 4년에 걸쳐 조사한 논문으로써,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Nutrients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TN의 경우 유출량과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나 TP의 경우 반대되는 유출 특징을 해당유역에서는 보였습니다. 특히 이 논문은 농경지에서 인간활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평균 유량가중 농도의 경우 재이용되는 농업용수의 TP 농도가 runoff 되는 물의 농도보다 항상 낮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원인이 희석에 의한 것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타 논문에 비해 토지이용이 농경지일 때 유출되는 특성을 유량과 농도의 관계 제시를 상세히 하고 있습니다.
<Fig.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concentrations and specific discharge in total runoff. Open and solid symbols indicate rising and falling limbs of hydrographs, respectively: (a) TN; (b) TP.>
유량과 농도는 강우발생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야 하지만 농경활동 기간에는 항목별로 대조적인 유출 유량 및 농도 특성을 보이며 이는 전형적인 Site Specific 한 결과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다른 논문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객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논의 상태(Ponded, Non-ponded(dry), Non-ponded(wet))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유출 특성을 실제 측정값을 통해 비교 검증하였습니다.
최종적인 결론은 TN과 TP는 그 유출특성이 농경활동기간에는 반대의 유출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인간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질소계열 비료 영향으로 인해 강우 시 이들의 추가 유출이 없기 때문에 TN의 경우 희석효과가 발생하며 TP의 경우 그 반대로 거동한다.
4. 독창성 및 창의성
본 연구는 3년이라는 기간 동안 수 차례 Stormwater 현장실험을 논 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해석이 난해한 TN의 유동적인 농도변화가 인간활동에 의한 것임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으며 TP와 TN의 일반적인 유출 관계가 농경지에서 다를 수 밖에 없음을 명시하였습니다. 송촌리 인공습지 유역과 거의 유사한 유출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 수행하지 않았던 실험을 운 좋게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 논문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좋은 논문 작성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5. 향후 우리 Lab 연구에 적용 가능한 내용 도출
농경지 비점유출과 인간활동과의 유량 및 농도 관계를 이해하는데 최적의 논문이라 판단되며 특히 유출해석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6. 당일논문 요약자 연락처
ichamini@g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