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0803_Correlations between watershed and reservoir characteristics, and algal blooms in...

 

 

1. 논문제목: Correlations between watershed and reservoir characteristics, and algal blooms in subtropical reservoirs
저널: Water Research
저자: Michele A. Burford, Suzanne A. Johnson, Andrew J. Cook, Timorhy V. Packer, Bradley M. Taylor, E. Rovert Townsley


2. 주저자 배경: Michele Astrid Burford는 호주의 Griffith University의 부교수로써, Ecological processes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하천, 호소, 연안의 수질을 기반으로 생태학적인 순환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조류 생태 분야에 많은 논문을 출판하였다.


3. 논문 요약
이 논문은 아열대기후에 위치한 7개의 호소들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조류와 유역환경, 호소환경의 인자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하였다. 조류번성의 주요인자에 대해 multidimensional scaling(MDS) 을 실시하여 7개의 호소들의 유역, 수질 특성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각 환경인자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류번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역환경인자로는 토지이용비율, 유역크기, 강우량, 호소체적이며, 호소의 수질인자로는 총인, 총질소, 용존산소량, 탁도, 수심, 조류종, Chl-a 농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호소수질데이터를 이용하여MDS을 분석한 결과, 유역환경에 따라 크게 세 그룹으로 호소들이 분배되었다. 먼저 4개의 호소는 농촌과 도시 토지이용비율이 높았으며, 2개의 호소는 숲지역의 비율이 높은 것이 공통점이었으며, 마지막으로 1개의 호소는 위 두 그룹의 혼재된 것이 특징이였다. 모든 호소의 조류종을 분석한 결과, cyanobacteria가 주종이었으며, 숲지역의 비율이 낮은 3개의 호소에서 cyanobacteria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유역내의 숲지역 토지 비율은 조류 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총인과 총질소농도는 다음으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 면적과 ((유역 면적 X 체류 시간)/호소체적)은 조류 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호소수질보다 상대적으로 상관성이 모두 높았다.


4. 논문의 독창성
본 연구는 조류번성의 주요 원인을 호소의 수질뿐만아니라, 호소의 물리적 특성과 유역의 물리적 특성들을 포함하여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5. 논문의 적용 가능성
본 논문은 한국에서도 빈번히 발생하는 조류번성에 대한 원인을 결정론적 모형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통계적으로 유역환경과 하천환경을 고려한 분석을 하는 점을 참고하여 통계기법에 기반하여 조류번성의 원인을 연구 할 수 있다.


6.논문 요약자 : 전동진(djjeon@gist.ac.kr)

첨부 (1)
150803_Dong Jin Jeon.pdf
79.5KB / Download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