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0331_JMS_Heat transport and membrane distillation coefficients in direct contact memb

1.Title & Authors
?Title 
: Heat transport and membrane distillation coefficients in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Authors
: J. Phattaranawik, R. Jiraratananon, A.G. Fane b

2.Background of authors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ing Mongkut’s University of Technology Thonburi
UNESCO Centre for Membrane Science & Technology,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and Industrial Chemistr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SW 2052, Australia

3.Summary

?이 논문에서는 DCMD의 열전달에 대한 부분을 세부적으로 다루었으며, 열전달율과 열전달계수에 따른 질량 전달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열전달 구조가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막의 열 전도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먼저, 결과를 살펴보면, 질량전달율과 막의 열전달계수에 따른 질량전달의 영향은 거의 미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막안의 증기로 인한 열전달은 열전도와 같거나 큰 값을 나타냈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원수의 온도가 50도보다 낮을 시, 열전도로 인한 열손실은 막의 전체 열전달에 중요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또한 막안에서의 온도분포는 선형을 나타냈습니다. 각각의 막증기 계수는 유량과 온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며, 스페이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난류보다는 중간류의 양상을 보였습니다. 
?높은 질량전달률은 열전달계수에 대한 질량전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최고값은 는 원수와 투과수율에서 각각 7.2%와 3.2%의 효율을 보였습니다.

4.Originality & Application

 이 논문은 열전달계수를 여러가지 측면으로 연구한 것으로서, MD 계수는 운영조건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막의 변수에 따라 달라짐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여러 막의 종류에 따라 각각 그막의 계수를 얻어냈으며, 실험을 통하여 스페이서 사용시 질량투과수량의 향상됨을 보였습니다. 또란 이 논문에서는 스페이서 사용시 발생되는 중간류의 부분도 다루었습니다. 현재 모델링시 층류의 조건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 중간류의 난류를 적용하면 좋을 듯합니다.

5. Reviewer contact : 한진미(jmhan@gist.ac.kr)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