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0707_An integrated constructed wetland to treat contaminants and nutrients from dairy farmyard dirty water (Ecological Engineering, 24, (2005), 221-234)

1.제목 및 출간논문

An integrated constructed wetland to treat contaminants and nutrients from dairy farmyard dirty water (Ecological Engineering, 24, (2005), 221-234)

2.주저자 또는 교신저자 

E.J. Dunne
영국 웨일즈 대학에서 학사(1999)를 받았고 아일랜드 Dublin대학에서 석사(2001) 및 박사(2004)를 받았습니다. 주로 Surface water에서 Nutrients Management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Soil-water realationships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3.논문 내용 및 결론 요약

이 논문은 농경지에 의해 발생하는 수질오염은 주로 Runoff, parlour washing, 및 가축분뇨의 유출수에 의해 발생하며 이들은 부영화를 일으켜 수생태를 위협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공습지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3년여 동안 총 33회의 지속적인 강우실험을 하였고 이를 계절별로 분류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결론은 인공습지의 운영에 대한 결과와 연구내용을 통한 설계방안의 제시로 요약됩니다.

1) 유입유량은 precipitation과 positive 관계에 있으며 수질에 영향을 주는 critical factor는 open yard area로써 이들이 수질조절을 위해서는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인공습지의 특성상 Seasonal variation이 있기 때문에 특히 인(P)의 경우, 동절기 처리 효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으로 유입유량 조절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3) 향후에 건설된 인공습지의 경우 대규모 강우를 대비한 설계가 필요하며, 습지 운영 및 모니터링을 위한실질적인 지연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dye tracing study가 필요함 입니다.


<Fig 1>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wetlands inputs (farmyard dirty water in (Qin), precipitation on wetland surface area (Pw), and inflow from precipitation on surrounding wetland banks (Pb)) and cumulative wetland outputs (evapotranspiration from the wetland surface area (ET) and wetland surface outflows (Qout)).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불확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프로그램 디자인이 불확정성의source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4. 독창성 및 창의성

본 연구의 결론에는 향후 인공습지를 설계할 때 heavy precipitation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언급하고 있으며 그 기준에 대한 예시로써 최근 5년, 25년 일 최대 강우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체적인 설계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반드시 5년 또는 25년 기준이 아니라 할 지라도 접근 방법론에 대한 고려는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5. 향후 우리 Lab 연구에 적용 가능한 내용 도출

비점오염과제 수행 시 제시해야 하는 설계기준 조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때 저감기준과 강우량을 고려한 최대 처리 유량을 산정하는데 응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6. 당일논문 요약자 연락처

ichamini@gist.ac.kr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