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1029_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surface water quality

 

 

중국 출장으로 정해진 날짜에 제출하지 못하였습니다.
사전에 작성해두었어야 하는데, 늦어진 점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늦어지는 일 없이, 제 날짜에 제출하도록 하겠습니다. 

1. Title & Journal
Title: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surface water quality
Journal: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 Background of authors
Susanna T. Y. Tong : 
저자는 Sheffield University, United Kingdom, (Geography and Botany (Applied Ecology)).에서 박사학위를 마쳤으며, 현재는 Environmental Consultant to USEPA, SoBran Inc, Cincinnati, Ohio. 에 속해있습니다. 연구분야는 Environmental science이고, 주로 global changes,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ecological risk assessment, heavy metal contamination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3. Summary
본 논문은 토지이용에 따른 hydrologic effects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Watershed hydrology가 많은 factor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surface water에 대한 다양한 토지이용의 차이가 고려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착안되었습니다. 공간 분석을 위한 GIS와 통계학적 분석이 사용되었고, 수질과 유역 분석 시스템으로는 USEPA에서 개발된 BASINS(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가장 먼저, regional scale에서 토지이용과 수질 사이의 1. 통계적, 공간적 연관성을 고려한 분석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용도에 따라서 2. 수질 모델화하였습니다.
**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s 적용하였고, Spearman’s rank correlation 분석법이 사용되었습니다., ** GIS 공간 분석을 위해서 토지이용과 significantly하게 관련된 수질 variable만 선택, 적용하였고, rank correlation의 결과에 따라 수질과 토지이용 variable pair의 결과값은 ArcView G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모델 결과, agricultural, impervious urban, pervious urban, forest, barren 토지를 비교했을때, agricultural과 impervious urban 지역 runoff에 많은 양의 인과, 질소가 포함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오염물질의 level이 달라지기 때문에, 향후 토지 개발과 관리는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입니다. 

4. 논문의 독창성
토지이용에 따른 surface water의 연관성을 고려하였습니다. 또한, BASIN프로그램의 장점을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습니다.

5. 적용 가능한 내용
통계적 방법의 적용과 데이터 선택의 기준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BASIN 대신에 SWAT에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6. Reviewer : 최문희 mhchoi@gist.ac.kr

첨부 (1)
1029_최문희_.pdf
96.2KB / Download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