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0715 Optim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characteristics in constructed...

 

 

1. Title &  Journal
 Title : Optim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characteristic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Journal : Chemosphere

2. Background of author
 Maria Hijosa-Calsero, Javier Martim-Villacorta, Eloy Becares : facultad de Ciencias Biologicas y Ambientales, Universidad de Leon, Campus de Vegazana s/n, 24071 Leon, spain
Ricardo Sidrach-Cardona : Instituto de Medio Ambiente, Universidad de Leon, C/La Derna 58, 24007 Leon, Spain

3. Summary
 최근 십년동안 인공습지를 이용한 다양한 하수를 처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었다.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가장 적절한 조건을 찾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식생의 유무, 식생의 종, 흐름의 종류, 자갈이나 흙의 사용, 체류시간 등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조건들이 있다. 이 실험은 7개의 mesocosm-scale의 인공습지를 만들어 도시 하수를 유입시켜 effluent concentrations, areal removed load (ARL) and percent mass removal (MRE)를 비교하여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대상은 식생의 유무, 식생의 종(Typha angustifolia or Phragmies australis), 흐름 유형(Surface flow or Subsurgace flow), soil matrix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CW1 (Planted with Typha angustifolia, Without gravel bed, Floating macrophtes, surface flow)
 CW2 (Planted with Typha angustifolia, With gravel bed, Free-water surface flow)CW3 (Planted with Typha angustifolia, With gravel bed, Free-water flow, effluent leaving through the bottom)
CW4 (Unplanted, With gravel bed, Free-water flow, effluent leaving through the bottom)
CW5 (Planted with Phragmites australis, Without gravel bed, Floating macrophytes, surgace flow)
CW6 (Planted with Phragmites australis, With gravel bed, Subsurface flow)
CW7 (Unplanted, With gravel bed, Subsurface flow)
로 총 7개의 mesocosm-scale로 실험을 하였다. 측정항목은 COD, filtered COD, BOD, TSS 등 이다. 또한 계절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15개월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유출수 농도는 겨울이 여름에 비해 상당히 높았으며 이는 유입수의 오염농도가 겨울에 훨씬 높기 때문이었다. 유출수의 오염물질 농도로 평가 하였을 때 CW3가 COD, FCOD, BOD 제거 효율이 가장 좋았다. TSS 제거율은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CW6에서 Subsurface flow와 식생의 영향으로 많은 chrysophytes가 증식하면서 결과적으로 유출수의 TSS값이 높았다. areal removed load(ARL)은 단위시간과 단위면적당 제거되는 오염물의 양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효율성을 판단할 때 또한 CW3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Percent mass removal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대부분 유사하나, CW4가 효율이 가장 뒤쳐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해보면 식생군의 존재와 식생군 중에서 T. angustifolia가 P. australis 보다 더 우수하며, 흐름의 유형은 Free- water, flow-through the bottom이 효율이 좋았다.

4. Originality & creativity
 인공습지를 구성하는 주요 인자들을 알게 되었으며, 이 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연구 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또한 자연환경이 각 나라별로 너무 상이하기 때문에 외국의 데이터를 가지고 우리나라에서 똑 같은 결과를 얻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기에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인공습지에 대한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 같다.

5. Reviewer contact : 전동진 (dynamicdj@naver.com)

첨부 (1)
Optim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characteristics.pdf
553.4KB / Download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