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20180928_The paradox of irrigation efficiency

1. Title, Journal and Authors

Title : The paradox of irrigation efficiency

Journal : Science,  361, 748-750 (2018)

Authors : R. Q. Grafton1,2, J. Williams1, C. J. Perry3, F. Molle4, C. Ringler5, P. Steduto6, B. Udall7, S. A. Wheeler8, Y. Wang9, D. Garrick10, R. G. Allen11

1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CT 2601, Australia.

2Groupe de Recherche en Économie Théorique et Appliquée (GREThA), UMR CNRS 5113, University of Bordeaux, 33608 Pessac, France.

3Consultant, London NW8 8QX, UK.

4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éveloppement (IRD) and G-Eau, University of Montpellier, 34196 Montpellier, France.

5Environment and Production Technology Division,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Washington, DC 20005-3915, USA.

6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Regional Office for the Near East and North Africa, 12311 Cairo, Egypt.

7Colorado Water Institute,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80523-1033, USA.

8Centre for Global Food and Resources, Faculty of Professions, University of Adelaide, Adelaide, SA 5001, Australia.

9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Institute for Contemporary China Studies, Tsinghua University, 100084 Beijing, China.

10Smith School of Enterprise and the Environment, University of Oxford, Oxford OX1 3QY, UK.

11Kimberly Research and Extension Centre, University of Idaho, Kimberly, ID 83341, USA.

 

2. Summary

Irrigation efficiency (IE) 는 관개용수의 용량 중에 유익하게 이용된 관개용수(주로 토양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작물의 증발산과 염제거에 이용) 용량의 비율을 뜻함.

관개 시스템은 작물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리되며, 이에 따라 국부적으로 타겟 지점에 요구되는 물 소요량보다 많은 양이 새어 나가고 (transpired)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못한다. 또한, 관개시스템 상에서 손실로 인식되는 부분적으로 추출되었으나 소비되지 않은 물은 지표수 또는 지하수로 흐르며 사라지지 않고 유역이나 분지 등 다른 곳에서 재활용 된다. 본 논고는 이 두가지 점을 지적하며 특정지역에서 높은 관개효율에 따른 유익한 물 이용량의 증가는 1)유익하지 않은 물 소비, 2)지표 또는 지하수로의 반환 흐름 (recoverable return flow) 및 3)회복 불가능한 유출로 인한 물의 감소로 그 효과가 상쇄되어 현지의 유익한 물 요구량을 오히려 증가시킨다는 역설을 주장한다.

더불어 역설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관개 효율 증진 목적의 기술 적용, 정책 입안 등에 대한 보조금 지급과 같은 공공비용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세부적으로는 높은 수확량으로 인한 예상 이익과 recoverable return flow의 감소에 따른 외부 비용 (수생태계 손실, 물 용량 감소, 유역에서의 염 제거, 기타 용수 사용) 과의 비교를 통해 의사결정을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Originality & Creativity 

- 경작지에서 물 사용 효율이 높으면 선순환적 물순환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통상적 관념을 논리적으로 지적함.

 

4. Application to research

공공데이터로 관개시스템의 IE에 따른 물순환 과정의 양적 검증 (water budget)

 

5. Contact

Bumjo Kim (bumjo@gist.ac.kr)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