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1130_Predicting discharge and sediment for the Abay (Blue Nile) with a simple model

 

 

1. Title & Journal

Title: Predicting discharge and sediment for the Abay with a simple model

Journal: Hydrological process (2009) 23, 2010-2020

Authors: Steenhuis, T.S., Collick, A.S., Easton, Z.M., Leggesse, E.S., Bayabil, H.K., White, E.D., Awulachew, S.B., Adgo, E., Ahmed, A.A.


2. Author's Background

Steenhuis, T.S.

Ph.D., Agricultural Engineering, Soil and Water Management University of Wisconsin, 1977 
M.S., Agricultural Engineering, Soil and Water Management, University of Wisconsin, 1975 
M.S., Irrigation and Drainage State Agricultural University of The Netherlands, 1972 
B.S., Irrigation and Drainage State Agricultural University of The Netherlands, 1969

Current Research Projects
-USAID/Ethiopia National Regional State (ANRSO) Project
-Training and Research in Integrated Watershed Resource Managem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Lake Tana Basin in Northern Ethiopia
Field Identification of Hydrologically Sensitive Areas and Their Water Quality Implications
Hydrologic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Phosphorus in the Town Brook Watershed

3. Summary 

이 논문은 몬순기후와 산림지역으로 이루어진 지역에서의 수문 및 침식모델 개발에 관한 논문입니다. water balance approach를 통한 수문모델의 경우 5일이나 그 이상의 시간 term을 갖고 있는 하천 흐름에 관한 simulation이 잘 이루어졌으며 강우량, 증발산량 그리고 parameter calibration을 사용한 erosion model과 well coupled 되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포화된 지역에서 직접적인 runoff와 불투수성 지역(bedrock outcrops)에 적용되어 예측되었으며 그 결과는 상당히 reasonable 한 결과를 보였음이 10-day observed discharge and sediment 농도와 predicted 농도와의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습니다.
<Fig.> Predicted and observed discharge and precipitation and in the Abay (Blue Nile) at the Ethiopia?Sudan border upstream of the Rosaries Dam. (a) 1993 Calibration; (b) 2003 validation

4. Originality & Applications 

단기 유출이 아닌 장기유출모델을 만들 때 최소 단위가 하루 이상일 경우 간단한 모델로도 충분히 예측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모델은 연간 유출모형을 간편하게 만들고자 할 때 그리고 해당지역의 토양이 saturation 되었을 때 응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비점오염저감시설 설계 시 요구되는 design factor 경우 장기 유출모형보다 단기 유출모형 결과가 필요하며 강우사상과 토양의 saturation 상태에 따라 변화무쌍한 유출 특성을 모의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연구결과라고 생각됩니다. 

5. Reviewer contact: ichamini@gist.ac.kr

첨부 (1)
1.pdf
69.2KB / Download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