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PAPER REVIEW

0721_A graphical method to study suspended sediment dynamics during flood events in...

 

 

1. Title & Journal

 

Title: A graphical method to study suspended sediment dynamics during flood events in the Wadi Sebdou, NW Algeria (1973?2004)

 

Journal: Journal of Hydrology, 497, (2013), 24-36

 

Authors: Abdesselam Megnounif, Abdelali Terfous, Sylvain Ouillon

 

2. Author's Background

 

Sylvain Ouillon

 

-      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veloppemen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Hanoi (USTH), 18 Hoang Quoc Viet, Cau Giay, Hanoi, Viet Nam

 

3. Summary

 

지중해 연안에는 작은 소유역들이 많이 있으나, 이러한 소하천 체계로부터 유출되는 퇴적물의 이동과 관련된 수리 기상학적 과정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부족한 관계로, 광역적인 퇴적물량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1973년부터 2004년까지 31년 간 알제리 북서부 지역의 Wadi Sebdou 유역 (256 km2) 하부에서 측정한 강우 사상 동안의 퇴적물 농도와 하천 유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이력 곡선의 특성에 기반한 새로운 도식 해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각 홍수 사상을 연속적인 단계의 개별 단위로 간주하여 각각의 퇴적물 비율 곡선에 대한 특성을 부여 하였으며, 각 홍수 사상은 유역 내 퇴적물의 원인을 역추적 하기 위한 기여율을 정량화에 이용되었다. 이를 위해 7가지의 정형화 된 수리학적 사상 (single valued and six hysteresis loops: clockwise, counter-clockwise, eight-shaped, single valued plus one loop, eith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single valued plus at least two loops)이 고려되었다. 지역적으로 분산된 발생원으로부터 유출되는 퇴적물 공급량 (또는 기본 유출량)은 연구 기간 동안의 총 퇴적물 유출량 중 77%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며, 이는 하상 물질이나 협잡물의 풍화로부터 기인한다. 나머지 퇴적물량에 해당하는 부분은 언덕의 경사면이나 하천 하상의 신규 퇴적물의 재부유, 또는 하천변의 붕괴 등에 의한 것이다 퇴적물 발생량이 많은 발생원으로부터 유출되는 부유성 물질량의 비율은 각 홍수 사상마다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계절적인 특성 및 선행 홍수 사상의 유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이다. 단순한 홍수 사상이 가장 빈번한 경우 중의 하나였으며, 상대적으로 퇴적물 발생량이 적다. 가장 빈번한 홍수 사상은 clockwise anticlockwise 형태의 수리학적 사상 (52%)을 보였으며, 단지 34%만의 퇴적물 발생 기여율을 나타냈다. 가장 복잡한 양상의 강우 사상은 전체 강우 사상 형태의 18% 정도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 퇴적물 발생량의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퇴적물 기본 유출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84%). Intra-annual variability 형태의 강우 사상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31년의 연구대상기간 동안, 가장 규모가 큰 5개의 홍수 사상에 의해 전체 퇴적물 유출의 64%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의 수리학적 특성 중 한 종류였으며, 가장 복잡한 홍수 사상 특성이 지배적인 특성을 나타냈었다. 가장 퇴적물 발생량이 많았던 홍수 사상은 33일 동안 지속된 단일 수리학적 사상이었으며, 복합 수리 사상으로서 전체 퇴적물 유출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4. Originality and Creativity

 

장기간 동안 관측된 많은 수의 강우 사상을 수리학적 특성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하여 각 분류별 홍수 특성에 따라 퇴적물 유출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규명한 논문으로, 전체적인 방법론적인 개념을 차용할 경우 복잡한 유역 환경 및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 조건을 유역 관리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기여해 줄 것으로 보인다.

 

 

5. Reviewer contact: 이승원 (swonlee@gist.ac.kr)

첨부 (1)
Daily report_130721_LSW.pdf
277.3KB / Download 27